PK소개
2002년 창업 이래 ‘최고의 유전능력 공유’와 ‘고객의 이익 창조’를 기업 이념으로 다져온 PK는
세계 최대 종돈 육종회사인 PIC의 다양한 라인 중 한국 고객이 원하는 종돈을 선택하고 육종하며
한국 양돈 산업 발전의 선구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IC : 육종의 선두주자
PIC는 전세계 40여 개국에 종돈을 공급하고 있으며, 종돈 판매 세계 1위의 육종 회사입니다.

고객의 성공을 위한 PIC의 육종

유전자원
엘리트 핵돈군의 규모 지속적으로 증가.
협력 관계 체결, 기업 인수를 통한 다양하고 우수한 유전 자원의 도입.

육종 기술 적용
유전자 편집, 관계기반 유전체학,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등 혁신적인 과학기술을
육종에 접목하여, 육종의 정확성 향상.

육종 방향
고객의 수익성 향상을 위해, 경제적 형질에 중점을 둔 육종 방향.
다양한 종돈 라인을 통해 각 시장에 적합한 생산 체계로 종돈 공급.

기술 지원
종돈의 유전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와 연구 진행.
사양 관리, 영양, 생산 데이터 분석, 유전력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 제공.
PK : 끊임없는 육종
PK는 PIC의 뛰어난 유전력을 가진 종돈 중 한국 시장에 적합한 종돈을 선택하고 육종하여 고객 농장에 전달합니다.
최상위 인덱스 종돈의 도입

GGP 돈군 조성 및 갱신돈 도입 시, 최상위 인덱스 종돈을 도입.
연간 최소 2회 이상 갱신돈 수입 실시. → GGP 웅돈은 연간 최소 100% 이상 갱신을 실시.
PIC 핵돈군과의 Genetic Lag(유전력 전달 지연) 을 최소화하고, 높은 인덱스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PK GGP의 인덱스 관리
각 개체의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여 선발, 교배, 도태 대상이 결정.
- 인덱스 상위 10% 이내의 모돈만 순종 교배에 사용.
- 모돈은 인덱스 기준으로 도태 실시.
PIC돈군에서도 최상위 인덱스의 웅돈으로만 돈군 조성. → 지속적인 평가와 갱신을 통한 인덱스 유지.

PK는 GGP의 생산성보다 육종을 중점으로 두고 있습니다.
PK 의 협력 농장
전국에 위치한 PK 협력농장을 통해 PK의 우수한 종돈이 고객농장에 안정적으로 공급됩니다.

구분 | 협력농장 | 지역 |
---|---|---|
GGP (총2개소) |
제네틱스 | 경남 합천 |
서원 | 충북 보은 | |
GP (총17개소) |
명진 | 경기 포천 |
협동 | 경기 포천 | |
태봉 | 강원 철원 | |
안녕 | 경북 영주 | |
남선 | 경북 안동 | |
참길 | 경북 안동 | |
유진 | 경북 상주 | |
동남 | 경북 청송 | |
형제 | 경북 의성 | |
우성 | 경북 의성 | |
우성농업 | 경북 의성 | |
대성 | 경북 의성 | |
큐 | 충북 보은 | |
비흥 | 충남 부여 | |
청명 | 충남 부여 | |
부안 | 전북 부안 | |
돈금 | 경남 양산 |
PK 고객 지원 서비스
PK종돈의 유전력이 고객 농장에서도 충분히 발현하도록 분양 전·후 고객 지원 서비스를 진행합니다.

2031년에는 PSY 47.5두 사료요구율 2.20 이 실현될 것입니다.